본문 바로가기

정보처리기사 실기

교환 방식

교환 방식

 

회선 교환 방식(Circuit Switching)

-통신을 원하는 두지점을 교환기를 이용해 물리적으로 접속시키는 방식으로 기존의 음성 전화망이 대표적

-접속에는 긴 시간이 소요되나 일단 접속되면 전송 지연이 거의 없어 실시간 전송이 가능

-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전체 시간이 축적 교환 방식에 비해 길다

-일정한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하므로 동일한 전송 속도가 유지

 

-종류

  • 공간 분할 교환 방식(SDS; Space Division Switching) : 기계식 접점과 전자 교환기의 전자식 접점 등을 이용해 교환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음성 전화용 교환기가 이에 속함
  • 시분할 교환 방식(TDS; Time Division Switching) : 전자 부품이 갖는 고속성과 디지털 교환 기술을 이용해 다수의 디지털 신호를 시분할적으로 동작시켜 다중화하는 방식

 

패킷 교환 방식(Packet Switching)

-메세지를 일정한 길이의 패킷으로 잘라서 전송하는 방식

-패킷은 장애 발생 시의 재전송을 위해 패킷 교환기에 일시 저장됐다가 곧 전송되면 전송이 끝난 후 폐기

-전송 시 교환기, 회선 등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정상적인 경로를 선택해서 우회 가능

-음성 전송보다 데이터 전송에 더 적합

-패킷 교환망은 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

 

-종류

  • 가상 회선 방식 : 단말장치 상호간에 논리적인 가상통신 회선을 미리 설정해 송신지와 수신지 사이의 연결을 확립한 후에 설정된 경로를 따라 패킷들을 순서적으로 운방하는 방식
  • 데이터그램 방식 : 연결 경로를 설정하지 않고 인전합 노드들의 트래픽(전송량) 상황을 감안해 각각의 패킷들을 순서에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운반하는 방식

'정보처리기사 실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소프트웨어 패키징  (0) 2021.06.10
라우팅(Routing, 경로제어)  (0) 2021.06.09
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프로토콜  (0) 2021.06.09
인터넷 계층 프로토콜  (0) 2021.06.09
전송 계층 프로토콜  (0) 2021.06.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