네트워크 침해 공격 관련 용어
스미싱 (Smishing) |
각종 행사 안내, 경품 안내 등의 문자 메시지를 이요해 사용자의 개인 시용정보를 빼내는 수법 |
스피어 피싱 (Spear Phishing) |
사회 공학의 한 기법으로 특정 대상을 선정한 후 그 대상에게 일반적인 이메일로 위장한 메일을 지속적으로 발송해 발송 메일의 본문 링크나 첨부된 파일을 클릭하도록 유도해 사용자 개인정보를 탈취 |
APT(Advanced Persistent Threats, 지능형 지속 위협) |
다양한 IT 기술과 방식들을 이용해 조직적으로 특정 기업이나 조직 네트워크에 침투해 활동 거점을 마련한 뒤 때를 기다리면서 보안을 무력화시키고 정보를 수집한 다음 외부로 빼돌리는 형태의 공격 |
무작위 대입 공격 (Brute Force Attack) |
암호화된 문서의 암호키를 찾아내기 위해 적용 가능한 모든 값을 대입해 공격하는 방식 |
큐싱 (Qshing) |
QR코드(Quick Response Code)를 통해 악성 앱의 다운로드를 유도하거나 악성 프로그램을 설치하도록 하는 금융사기 기법의 하나로 qr코드와 개인정보 및 금융정보를 낚는다는 의미의 합성 신조어 |
SQL 삽입 공격 | 전문 스캐너 프로그램 혹은 봇넷 등을 이용해 웹사이트를 무차별적으로 경격하는 과정에서 취약한 사이트가 발견되면 데이터베이스 등의 데이터를 조작하는 일련의 공격방식 |
'정보처리기사 실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(0) | 2021.05.26 |
---|---|
정보 보안 침해 공격 관련 용어 (0) | 2021.05.26 |
서비스 거부 공격 (0) | 2021.05.26 |
소프트웨어 개발 비용 산정 방법 (0) | 2021.05.26 |
커서(Cursor) (0) | 2021.05.25 |